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스마트 Tip314

[노벨상 다시 보기] 세상을 바꾸는 발견들, 2편 세상을 바꾸는 발견들2편What’s in my bag? 지금 여러분의 가방 안에는 몇 가지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들어 있나요? 스마트폰은 물론이요,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태블릿, 노트북, 여기에 날씨가 더워지면서 작은 손 선풍기까지, 그 기능도 다양한 초소형 스마트기기들이 작은 가방 안에 다 들어가 있을 텐데요. 크기가 작아진 덕분에 어딜 가도 들고 다닐 수 있게 된 이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우리 일상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바꾸어 주었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작은 크기로 전자기기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바로 초소형 배터리가 개발된 덕분이기도 합니다. 일차 전지와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여 오래가는 수명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는 ‘리튬이온전지’는 1990년 첫 대량 .. 2024. 5. 16.
[디지털 라이프] 구부리고, 감고, 차고! 비현실적인 너 = 벤더블폰을 만나다 구부리고, 감고, 차고 비현실적인 너 = 벤더블폰을 만나다 유연하다는 것은 새로움의 표상이지요. 이리저리 앞으로 혹은 반대로 뒤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은 IT 세상에서 메리트로 작용합니다. 부러질 것 같은 딱딱함을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것, 그것이 어쩌면 첨단의 또 다른 이름표이기도 합니다. 딱딱한 것은 누구나 만들 수 있지요. 얼리거나 뭉치면 되니까요. 하지만 이미 굳어진 것을 다시 유연하게 만드는 것은 첨단의 열정이 필요합니다. 벤더블 스마트폰 = 360도로 만나는 세상이 궁금하다 그래서 오늘은 첨단의 표상 같은 벤더블 스마트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말 그대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절정 같은 폰이지요. 살면서 손목에 채우거나 구부린 형태의 휴대전화를 만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을 텐데요. .. 2024. 4. 12.
[노벨상 다시 보기] 세상을 바꾸는 발견들, 1편 세상을 바꾸는 발견들 1편“돈으로 바꿀 수 있는 나머지 유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 유언 집행자는 그것을 안전한 곳에 투자해 기금을 조성하고, 거기서 나오는 이자는 지난해 인류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을 선정하여 상금의 형태로 매년 지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이자는 다섯 개 부분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골고루 분배한다.” 누구의 말인지 아시겠지요? 스웨덴의 화학자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이 유언장에 남긴 내용입니다. 다이너마이트로 부를 쌓은 노벨이 세상을 떠나기 전 이같이 유언을 남기면서 노벨의 유산을 기금으로 하여 1901년 제정된 상이 바로 ‘노벨상’입니다.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매년 10월, 시상식은 노벨이 사망한 날인 12월 10일에 열리고 있지요. 노벨위원회에서는 물리.. 2024. 3. 11.
[디지털 라이프]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기반! 기계 고객, 누구냐 넌!?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기반기계 고객, 누구냐 넌!? 2024년의 디지털 라이프는 또다시 분주합니다. IT 기업들의 새로운 세상을 향한 전진은 쉼표가 없습니다. 북적거리는 터마다 새 옷을 입고 새 미래를 갈망합니다. 생경한 이슈와 팔딱거리는 테마들이 다시 꿈틀거립니다.온디바이스 AI 등으로 화려했던 2024 디지털 세상의 서막 연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4’ 전시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하는데요, 이 2024년의 첨단 서막 중 AI는 여전히 주요 이슈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특히, 기기 자체에 AI 기술을 얹는 ‘온디바이스 AI’ 시대가 가까워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고도 해요. 삼성전자의 경우, 박람회 중 기기 간 연결 경험에 AI를 더 접목해 차원이.. 2024. 2. 8.
[에너지 다시 보기] 쓰레기, 다시 힘을 내다! 폐기물 에너지 쓰레기, 다시 힘을 내다! 폐기물 에너지 우리는 여러 매체를 통해 수많은 바다생물이 바닷속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진들을 접하곤 했습니다. 1950년 약 200만 톤이던 플라스틱 생산은 2020년에 이르러 약 4억 톤까지 늘어났습니다. 70년 만에 200배에 가까운 플라스틱이 생산 및 소비되었고, 이중 60%가량은 매립되거나 자연으로 그대로 버려지고 있지요. 비단 플라스틱 쓰레기만 문제가 아닙니다. 2018년 기준 인류의 전체 쓰레기 배출량은 연간 20억 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이중 재활용되는 것은 약 16%에 불과하지요. 이 많은 쓰레기는 모두 어디로 갈까요? 선진국에서 발생한 쓰레기의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으로 보내집니다. ‘재활용 자원’이라는 이름으로 그럴듯하게 포장되어서 말이지요. 그렇다면 .. 2024. 1. 17.
[디지털 라이프] 인간에 의한 인간을 닮은 멀티모달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2024년이 저물어갑니다. 1월의 시작이 움튼 게 엊그제 같은 데, 또다시 한 해의 끝자락 가운데 놓여있습니다. 올해도 IT 기술 분야는 다채로운 모둠 세트를 많이 내놓았습니다. 대중은 그저 맛있게 먹으면 될 정도로 디지털 라이프와 첨단 세상은 상다리가 부러지도록 여러 먹거리를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그 수많은 스마트 세상의 이야기 속, 언제나 도드라지는 몇 가지 테마들이 있습니다. 앞선 디지털 라이프 세상의 단골 메뉴 : AI와 로봇 “2023년에도 인공지능과 로봇은 또 성장했다고!?” 괄목상대한 전진을 보이며, 첨단 세상의 모퉁이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대상들. 단골 메뉴지만 조금씩 리뉴얼하며 한층 새로워진 메뉴로 옷을 갈아입습니다. 바로 AI와 로봇이지요. 2024년을 고대하며 많은 전문가들이 이 .. 2023.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