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030

[에피소드] 옛날 돈가스 기회가 되면 꼭 먹어봐야겠다고 마음먹은 음식이 있다. 바로 옛날 돈가스! 계속 차일피일 미루다 드디어 먹게 되었다. 참 오래 걸린 것 같다. 손가락으로 세어보니 거의 10년 언저리쯤이다. 추억이 엄청나게 많이 남아 있는 음식 중 하나인, 옛날 돈가스. 주위에 경양식집이 없어 구경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당시도 가격이 제법 나가서 가게문을 열고 들어가기가 망설여졌다. 그리고 더 주눅들게 한 이유는 하나 더 있었다. 숟가락과 젓가락에 익숙했던 때라 포크와 나이프는 많이 어색했다. 포크를 오른손으로 들어야 하는지, 왼손으로 들어야 하는지를 두고 고민에 빠진 적도 있었다. 그게 뭐 그리 중요하겠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때는 참 고민거리였다. 서양음식이다 보니 순서와 절차가 복잡하다는 얘기를 들으니 더욱 .. 2025. 2. 27.
앰코코리아,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선정 앰코코리아,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선정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주최하는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인증심사’에서 부평사업장과 광주사업장이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됐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회사는 자율적으로 건강증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임직원들의 건강문화를 정착할 예정입니다. By 미스터반  | 안녕하세요. 'Mr.반'입니다. 반도체 정보와 따끈한 문화소식을 전해드리는 '앰코인스토리'의 마스코트랍니다. 반도체 패키징과 테스트가 저의 주 전공분야이고 취미는 요리, 음악감상, 여행, 영화감상입니다. 일본, 중국, 필리핀,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지에 아지트가 있어 자주 출장을 떠나는데요. 앞으로 세계 각 지역의 현지 문화 소식도 종종 전해드리겠습니다. 2025. 2. 26.
[가족과 함께하는 세계여행] 홍콩 여행(디스커버리 베이), 4편 (지난 호에서 이어집니다) 옹핑에서 디스커버리 베이로 간다. 디스커버리 베이는 란타우섬에 있는 작은 해변 마을로, 400m가량 펼쳐진 타이팍 비치로 유명하다. 리조트로 계획된 작은 도시인 이곳은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북적대는 홍콩과 다르게 한적한 휴양지의 느낌을 주는 곳이다. 마카오 세나도 광장에서 보았던 물결무늬 바닥이 여기에도 있다. 한적한 해안 산책가를 거닐며 바라보는 바다 풍경! 홍콩에 이렇게 한적하고 멋진 곳이 있다니. 와인 가게도 있는데, 유명한 와인들을 착한 가격에 팔고 있었다. 참고로 홍콩의 와인 가격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저렴하다. 오전 내내 힘들게 걸었으니 이제 맛있는 점심을 먹을 차례. 식당과 카페들이 많아 선택하기 쉽지 않았지만 그 중 깔끔하고 멋져 보이는 레스토랑을 선택했다.. 2025. 2. 26.
[포토에세이] 천년고찰 불갑사 [포토에세이] 천년고찰 불갑사해마다 가을이 되면 상사화로 유명한 천년고찰 영광 불갑사. 백제 침류왕 원년 인도 간다라 출신 고승 마라난타 존자가 불법을 전하고자 우리나라에 들어온 불교 도래지로, 기존 우리나라 사찰과 달리 간다라 사원 양식인 탑원이 있다. 작은 공간에서 승려가 수행하는 공간이 있고, 코끼리를 타고 있는 동자승이 무척 이채롭다. 비록 겨울이라 상사화는 볼 수 없었지만, 주변 산세와 함께 평화로운 사찰풍경을 볼 수 있었다. 촬영지 / 전남 영광 불갑사글과 사진 / K4 기술2팀 서문석 수석 2025. 2. 25.
사보 퀴즈로 떠나는 세계일주 이벤트 결과 발표 _ 웹진 [앰코인스토리] 2025. 2. 24.
[부동산 랩] 안전한 부동산 거래를 위해 등기부 등본 열람하기 안녕하세요, 앰코인스토리 독자 여러분! 2025년 부동산 관련 소개를 맡은 주우경 필자입니다. 앞으로 부동산에 관한 이모저도 알짜배기 정보들을 독자님들께 알려드리려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_^) 부동산에 관해 처음 소개해드릴 내용은, 벌써 몇 년째 이슈되고 있는 ‘부동산 전세 사기’를 예방을 위한 ‘등기부 등본’에 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거래 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등기부 등본입니다. 어떻게 보면 어렵게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사회 초년생에게 도움이 될 만한, 또는 대한민국에서는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보는 친숙한 내용으로 하나하나 짚어 보겠습니다. 최근에 부동산 전세 사기로 사회가 많이 혼란스러웠음에도, 여전히 전세 사기 피해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미디어를 접하면 사기 피해..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