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conductor952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7월 13일 1. 하반기 전자·IT '구름조금' 자동차·정유 '흐림' (2015-07-13 전자신문) 기사 미리보기 하반기 전자와 기계, 건설업종은 따뜻한 햇살이 비추고 자동차와 조선, 철강, 유화·정유업종은 흐린 날씨가 예상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여개 업종 단체와 공동으로 ‘2015년 하반기 산업기상도’ 조사에서 이 같은 업종 결과가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조사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철강협회 등 10개 업종별 단체 간담회와 전화 인터뷰 등 방식으로 진행했다. 기사 바로가기 2. 애플 '아이폰7' 10나노 A10 칩 탑재? 삼성 vs TSMC 수주 경쟁 시작 (2015-07-13 넥스젠리서치) 기사 미리보기 아직 애플 차세대 스마트폰 '아이폰6S(가칭)'도 출시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삼성전자와 타이완 .. 2015. 7. 13. fleXBGA® (TFBGA) fleXBGA® (TFBGA) fleXBGA 패키지는 가장 진보된 어셈블리 공정과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최고 입출력 밀도 해법을 제공한다. 칩이 위로 향하며 와이어 본딩을 사용하는 구조로서, 기판은 테이프를 이용하고 몰드로 봉합한다. 테이프 기판의 미세 신호선 구현이 가능하므로 신호선과 와이어 본드 핑거 피치(finger pitch)를 줄일 수 있다. fleXBGA는 칩 크기와 거의 비슷한 크기며, 솔더볼 피치는 1.0mm에서 0.65mm까지 가능하다. 이미 검증된 PBGA와 유사한 구조, 제조방법, 설계규칙, 재료를 이용하여 앰코는 fleXBGA 패키지의 성능과 표면 실장 능력을 극대화한다. fleXBGA는 얇고 실장접면(foot print)이 작으면서 솔더볼 피치가 1.0mm보다 .. 2015. 7. 10.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7월 7일 1. 웨어러블 시대, 부품열전 ④ 반도체 (2015-07-07 아이뉴스24) - 삼성·인텔 '웨어러블용 모바일AP·센서허브' 개발에 박차 기사 미리보기 웨어러블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삼성전자와 인텔은 이에 맞춰 저전력 및 초소형 크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모바일AP)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각종 센서와 연동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센서허브의 기술개발도 완료, 본격적인 웨어러블 시장 개화에 대비하고 있다. 기사 바로가기 2. '스마트폰 바라기' 사업구조 문제… "IM·DS·CE 황금비율 찾아야" (2015-07-07 서울경제) - 고비 맞은 삼성전자… 제2 혁신 필요하다 기사 미리보기 삼성전자의 2·4분기 잠정실적은 실상 단순 수치만 놓고 보면 최악은 아니다. .. 2015. 7. 7. 영화 《채피》로 알아보는 쉬운 딥러닝(Deep learning) 이야기 얼마 전에 개봉했던 《채피》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채피》는 인간의 학습능력과 감정을 지닌 로봇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무슨 지식을 가지고 있는 다른 영화 속 로봇과 달리, ‘채피’는 아기처럼 인간의 말과 감정 등을 배워가며 성장하는 지능형 로봇입니다. 과연 로봇이 인간처럼 배우고 감정을 가지는 그러한 수준의 인공지능을 갖게 될까에 대해서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그러한 시도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로봇 ‘채피’ 안에 들어있는 컴퓨터에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조금 더 학문적으로 정의하자면, 딥러닝이란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또는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을 시도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 2015. 7. 7.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7월 6일 1. 모바일 부문 부진… TV 침체 여전… 삼성전자 ‘더딘 회복세’(2015-07-06 문화일보) 기사 미리보기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7조 원에 미치지 못한 것은 ‘갤럭시 S6’의 판매부진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2분기(7조1900억 원) 이후 1년 만에 7조 원대 영업이익 복귀에 대한 기대도 다음 분기로 연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실적을 견인해온 정보통신·모바일(IM)부문 영업이익이 3조 원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 바로가기 2. 용인시, IT·BT 메카로 만든다 (2015-07-06 경양일보) 기사 미리보기 정찬민 용인시장이 창조경제를 견인하는 첨단IT산업(정보기술산업)과 BT산업(생명공학산업) 도시로 용인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장기적인.. 2015. 7. 6. [역사 속 엔지니어] 루이 파스퇴르, 보이지 않는 세균의 공포를 밝히다 2015년 중반, 때 아니게 한반도를 강타한 것은 ‘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라 불리는 바이러스 감염증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보니, 한국(Korea)의 머리글자 KO를 따서 ‘코르스’라고 해야 한다는 우스개까지 등장했습니다. 전염병은 메르스 이전 인류의 탄생 무렵부터 줄기차게 우리를 괴롭혀 왔습니다. 인간이 전염병을 조금이나마 다스리게 된 것은 과학의 힘입니다. 생물학과 화학의 발전은 의학에 응용되어 전염병 치료를 가능하게 했고, 공학에 이르러서는 원인을 차단해 발병을 막아주었습니다. 감염을 차단하는 도시와 건축 설계를 통해서 말이지요. 이번에는 세균학의 시조인 과학자 루이 파스퇴르를 살펴보려 합니다. 현대인의 위생 환.. 2015. 7. 6.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