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077

앰코인스토리와 함께하는 ‘책 추천’ 이벤트! 2014. 10. 10.
[와인과 친해지기] 적포도의 왕, 카베르네 소비뇽 6년 전에 선배가 한턱을 낸다고 해서 우연히 와인을 마실 기회가 있었는데, 진로 포도주가 와인의 전부인 줄 알았던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와인 잔에 따라 놓으니 뭔가 기품 있어 보였다. 술에서 향도 나고 목으로 넘어가는 느낌도 소주나 맥주와는 다르고, 게다가 와인 이름이 샤또 뭐라고 하면서 왠지 고급스러운 느낌이었다. 하지만 그 후로 와인을 접할 기회는 없었고 자연스럽게 기억 속에서 잊혀갔다. 그러던 어느 날, 마트에 장을 보러 갔다가 우연히 와인 코너 앞을 지나가게 되었다. 전에 먹었던 기억이 문득 생각나 특가 세일을 하는 와인 중에서 할인 폭이 가장 컸던 프랑스 와인 7,000원짜리를 한 병 사서 집에 와서 먹었으나 완전 씁쓸한 게 꼭 무슨 한약과 같았다. 이후로도 여러 번 저가 와인으로.. 2014. 10. 10.
[포토에세이] 토실한 알밤 보셨어요? 가을을 맞아 알밤이 아주 통통하게 익었네요!※ 사진 제공 / 미스터 반 2014. 10. 10.
[맛집을 찾아라] 태국 전통음식점 ‘아로이 플레이트’를 찾아서, 인천 부평구 부평동 오늘 소개할 맛집은 퓨전 태국음식점이 아닌 식자재 모두를 현지 그대로 사용하는 태국 전통음식점 ‘아로이 플레이트(Aroi plate)다. 요즘은 굳이 외국을 가지 않더라도 현지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맛집이 많이 생겨났지만, 한국인 입맛에 맞춰 변형된 음식들이 대부분이라 현지 그대로의 맛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여기 아로이 플레이트는 타이 음식 마니아들이 많이 찾는 곳 중 하나다. 태국음식은 시고, 달고, 맵고, 짠 혀의 모든 감각을 자극하는 맛으로, 고수, 레몬 그라스, 바질, 라임 등 다양한 허브와 향신료로 이국의 향을 더한 음식이 대부분이다. 꽃게라는 뜻의 ‘뿌’, 볶는다는 뜻의 ‘팟’, 가루라는 뜻의 ‘퐁’과 ‘커리’로 이루어진 이름 ‘뿌팟퐁커리’는 살이 꽉 찬 특제 커리의 고소한 만남으로 한.. 2014. 10. 9.
반도체 공정기술 전기전도도가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정도인 결정형 고체들. 집적회로를 제작하는 데는 많은 개별 공정이 필요하다. 잘 동작하는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공정이 정확히 조절되어야 하며 신중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특정한 공정이 소자마다 다를 수 있지만 전체 과정은 근본적으로 같다. 각 제조공정은 재료과학•화학•화학공학의 기본 원리에 크게 의존한다. 소자의 설계와 시험은 전기공학의 영역이다. 집적회로는 저항•트랜지스터•축전기•다이오드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도체 회로의 일반적인 구성과 동작은 그중 트랜지스터 하나만을 고려하여도 이해될 수 있다. n-채널 금속산화막반도체(MOS) 트랜지스터(그림10)에는 p-형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하여 고농도로 도핑된(단위체적당 1,018개 이상의 불순물을 가짐) 2개의.. 2014. 10. 9.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10월 8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백열등 몰아낸 LED 혁명 주역 일본계 3명 노벨물리학상 받아 (중앙일보 2014-10-08) 기사 미리보기 21세기 ‘램프 혁명’을 이끈 일본계 과학자 3명에게 올해 노벨물리학상이 돌아갔다. 아카사키 이사무(赤崎勇·85) 일본 나고야대·메이조대 교수, 아마노 히로시(天野宏·54) 나고야대 교수, 나카무라 슈지(中村修二·60)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UC샌타바버라)대 교수가 주인공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회는 7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인 광원(光源)인 푸른색 발광다이오드(LED)를 개발하는 데 공헌했다”며 세 사람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아카사키·아마노는 일본 국적이고 나카무라는 일본에서 나고 자랐지만 현재 미국 국적이다. 이로써 일본 출신 노벨 과.. 2014.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