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956

MEMS/Sensor [반도체 사전] MEMS/Sensor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은 물리적인 값(압력, 습도, 가속도 등)을 감지하거나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Micro 사이즈의 초소형 정밀기계를 의미합니다. MEMS는 반도체소자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하며, 2~3차원의 기계적인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Fab 공정을 사용하므로 MEMS는 주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지만, 다른 기판을 이용해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사이즈가 매우 작아 단일 웨이퍼 1장당 수만 개 die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MEMS Application Amkor Technology는 MEMS PKG 기술의 세계 선두주자이며, MEMS(Micro Electronic Mechanical System)와 MOEMS(Micro Optical Elec.. 2016. 9. 12.
[생활을 바꾸는 사물인터넷] 식물을 스마트하게 키우는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식물을 스마트하게 키우는 사물인터넷 화분에서 꽃밭까지, 무엇을 심을지 어떻게 키울지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집 안에서 화분 하나 키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바쁘거나, 귀찮거나, 까먹거나 이런저런 사정에 물 주는 걸 잊기라도 하면 어느덧 보란 듯이 말라죽어 있기 때문이지요. 플랜트링크(PlantLink)는 수분이 부족해 식물이 죽는 것을 막고,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실내 화분이나 집 밖의 흙에 플랜트링크를 꽂으면, 5만 가지 식물 데이터를 이용해 적절한 물 공급시간을 제시하고, 습기센서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물에 물이 필요할 때를 알려줍니다. 단순히 물주는 시기만을 알려주는 수분 모니터링 기능보다 한 단계 더 진화된 시스템을 갖춘 원예시.. 2016. 9. 7.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9월 6일 1. IoT 시대, 시스템반도체 선점 경쟁 (2016-09-06 뉴스토마토) 기사 미리보기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맞아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반도체 시장의 지형 변화가 예상된다. 기존 반도체 기업들 뿐 아니라 반도체를 주력사업으로 삼지 않던 기업들까지 IoT 시대의 후광에 눈독을 들이면서 시장 주도권 경쟁이 격화됐다. 6일 LG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사물인터넷 시대의 반도체 시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확산 원동력은 시스템반도체다.기사 바로가기 2. 반도체 혁신…'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 나오나 (2016-09-06 지디넷코리아) 기사 미리보기실리콘보다 성능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트랜지스터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IT 전문매체 엔가젯은 미국 위스콘신대학 매디슨캠퍼스 연구.. 2016. 9. 6.
POSSUM Technology [반도체 사전] POSSUM Technology Chip on Chip(CoC) POSSUM™은 TSV를 사용하지 않아도 2개 혹은 그 이상의 die를 함께 assembly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즉, POSSUM Technology는 아주 미세한 flip chip interconnection을 통해 2개의 die를 face-to-face로 연결하기에 전기적 성능이 우수하며, TSV에 비해 훨씬 더 low cost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POSSUM Technology는 package의 total Z-height를 줄여 small form factor 실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CoC Value Proposition Primary focus Leverage fine pitch CuP bumping an.. 2016. 9. 5.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9월 2일 1. 향후 유망한 빅데이터 기술 베스트 10 (2016-09-02 월간 전자과학) 기사 미리보기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지능형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TMR(Transparency Market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시스템 반도체(SoC, System on Chip) 시장은 2014년 359억 5,000만 달러에서 2021년 719억 8,000만 달러로, 해당 기간 동안 연평균 10.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기사 바로가기 2. 삼성전자 "OLED TV 안한다…퀀텀닷 TV로 미래 일구겠다" (2016-09-02 뉴스1) 기사 미리보기삼성전자가 퀀텀닷 디스플레이로.. 2016. 9. 2.
[역사 속 엔지니어] 안토니오 무치, 미 의회가 인정한 최초 전화기 발명가 [역사 속 엔지니어] 전화기 최초 발명은 벨이 아니다?! 미 의회가 인정한 최초 전화기 발명가, 안토니오 무치 ▲ 안토니오 무치 (Antonio Meucci)사진출처 : http://goo.gl/hmpH2r 예전부터 당연하다고 믿어왔던 사실이 진실이 아니라고 판정이 난다면 여러분은 어떤 마음이 드시나요? 놀라움과 함께 그동안 속아왔다는 생각에 당황스럽기도 할 텐데요, 그렇게 우리를 당혹스럽게 만든 한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전화기 최초 발명가라고 알려져 왔던 그레이엄 벨 (Alexander Graham Bell, 1847~1922)입니다. 전화기를 통해 벨이 처음 그의 조수 왓슨에게 했던 말, “왓슨, 이리 와주게. 자네가 필요하네.” 이 유명한 대화 내용은 우리에게 그동안 위대한 발명가의 명언과도 같이.. 2016.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