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여행15

[광주 여행] 무등산의 녹음을 즐기는 각기 다른 방법, 광주 지산유원지 무등산의 녹음을 즐기는 각기 다른 방법 광주 지산유원지 & 평촌마을 한낮의 무더위가 제법 기승을 더해가는 여름의 초입입니다. 긴긴 코로나19와의 싸움도 여전히 진행 중인데요, 그래도 ‘백신’이라는 구세주가 등장했으니 어찌 됐든 ‘희망’이란 걸 품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앰코인스토리 가족 여러분. 이번 광주&인천 여행은 광주 무등산의 녹음을 즐기는 각기 다른 방법, 광주 지산유원지와 무등산 명품 마을 평촌마을 이야기입니다. 무성한 초록 속으로, 칙칙폭폭 산 위를 달리다 무등산의 무성한 초록으로 떠나는 여행, 그 첫 번째 즐길 거리는 바로 광주 지산유원지를 가면 만날 수 있는 무등산 ‘리프트&모노레일’입니다. 흔히들 ‘무등산에 리프트 타러 간다.’고 하지요? 무성한 초록 이파리들과 풀 내음, 시원한 산바람, .. 2021. 7. 9.
[광주 여행] 소촌농공단지의 핫플레이스, SAF : 소촌아트팩토리 2편 (지난 호에서 이어집니다) 광주에서 만나는 우리 동네 예술공간, 그 두 번째 장소는 문화재생공간 입니다. 용아생가에서 도보 10분, 소촌 농공단지 안쪽에 자리한 아트팩토리는 소촌농공단지의 30년 역사와 함께한 곳으로 그곳의 관리사무소를 리모델링하여 문화와 예술이 있는 아트공간으로 새롭게 재탄생한 곳입니다. 소촌농공단지는 농촌지역에 공업활성화를 위해 1988년 광산구 소촌동에 조성된 농업공업단지입니다. 자동차 부품생산 및 조립, 목재, 식품 등 68개의 다양한 종류들의 공장들이 입주하였고, 입주업체들의 편의시설 제공과 공단 관리 조성을 위해 건립된 소촌농공단지 관리사무소는 1988년 농공단지 조성과 함께 그 역사를 시작했습니다. 이제 30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근로자와 주민의 문화향유와 문화소통 공간으로 거.. 2019. 9. 13.
[광주 여행] 사부 사부작~우리 동네 예술공간, 광주 용아생가 & SAF : 소촌아트팩토리 1편 사부 사부작~우리 동네 예술공간 광주 용아생가 & SAF : 소촌아트팩토리 숨통을 옥죄는 더위도 이제는 한풀 꺾여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비로소 사부작사부작 여유 가득 동네 산책도 나서봅니다. 안녕하세요, 앰코가족 여러분~! 이번 광주 여행은 걷다가 만나는 우리 동네 예술공간, 광주 소촌동 용아생가와 SAF : 소촌아트팩토리입니다. 자! 함께 떠나볼까요? 한국문학의 개척자, 용아 박용철 생가 광주에서 만나는 우리 동네 예술공간, 그 첫 번째 장소는 광주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된 입니다. KTX 광주송정역에서 도보 25분, 광주 광산구 소촌동의 한적한 지형에 위치한 용아생가는 한국문학의 개척자, 민족문예운동가이자 시인이신 용아 박용철(1904∼1938) 선생의 생가입니다. 사부작 걸어서.. 2019.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