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074

창조와 혁신의 대명사, 엘론 머스크의 대담한 도전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나자 실리콘 밸리의 관심은 대체 누가 ‘제2의 스티브 잡스’가 될 것인가에 쏠렸다. 하지만 그 호기심은 오래가지 않았다. 모두가 압도적으로 한 사람을 지목한 것이다. 그가 바로 전 세계가 열광하고 있는 비즈니스맨 ‘엘론 머스크(Elon Musk, 1971~)’다. 월간 경제지 은 2013년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전 세계 경영인 중 ‘최고의 CEO’로 엘론 머스크를 선정했다. 시사 주간지 은 ‘가장 영향력 있는 세계 100대 인물’을 선정하면서 엘론 머스크를 커버스토리로 내세웠다. 2014년 가 뽑은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미국 최고의 혁신상인 ‘에디슨 어워드’를 수상하며 창조와 혁신의 대명사로 불리는 사람, 엘론 머스크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룬 국내 최초의 책 「엘론 .. 2014. 8. 22.
[포토에세이] 딸의 첫 번째 생일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소중한 딸의 첫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기념사진을 찍었다. 항상 건강하고 미소가 밝은 아이로 자라나기를! ※ 사진 제공 / 기술연구소 개발1팀 고영범 대리 2014. 8. 22.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8월 21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반도체 실리콘 발광효율 획기적 개선…DGIST 조창희 교수팀…고온발광 메커니즘 규명…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 앞당길 기반 마련 (경북매일 2014-08-21) (기사요약) DGIST 조창희교수가 반도체 발광효율을 높이는 메커니즘을 규명, 연구 성과를 나노레터스에 게재했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물질과학전공 조창희 교수 연구팀은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리테쉬 아가왈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반도체 실리콘 물질 고유의 낮은 발광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핫루미네선스(고온발광)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 기사 전문보기 2. 인피니언, 美 IR 3조원에 인수..반도체업계 M&A 붐…'세계 11위 인피니언, IR 인수…전력용반도체에 기대…창사후 최대 M&A.. 2014. 8. 21.
[맛집을 찾아라] 닭고기가 물릴 땐 오리고기로! 서울 화양동 건대입구 ‘오리식당’ 치맥, 삼계탕, 닭강정, 닭가슴살 샐러드…. 참 자주 먹는 닭! 복날도 있어서 닭고기의 인기는 끝이 없다. “치느님, 치느님!” 하며 모시는 무리도 생길 정도이니. 닭고기가 좋은 건 좋은 거지만, 닭고기가 지겨울 때도 생기기도 한다. 이럴 때는 닭과 같은 조류이지만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오리고기를 먹어보자. 오리고기는 육류 중 특이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른 고기보다 월등히 많고 필수 아미노산과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다. 단백질은 쌀밥의 6배, 콩의 1.4배이며, 비타민은 닭의 3.35배나 된다. 특히 비타민C와 비타민B1, 비타민B2의 함량이 높아 집중력과 지구력의 저하를 막는 한편, 몸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원기 식품이다. 또한, 칼슘, 인, 철, 칼륨도 많아, 중요한.. 2014. 8. 21.
버랙터 다이오드와 터널 다이오드 버랙터 다이오드 버랙터(variable reactor)는 리액턴스(교류저항)를 인가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는 소자이다. 이것은 특수한 불순물 분포를 지닌 p-n 접합이며, 그 전기용량 변화는 역방향 인가전압에 매우 민감하다. 버랙터는 매개변수증폭, 조화파 발생, 혼합, 검출 및 전압 가변 동조 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널 다이오드 터널 다이오드는 하나의 p-n 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합의 p와 n쪽 모두에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어서 공핍층이 아주 좁다(약 100A). 순방향 인가전압에서 전자는 접합을 통해서 직접 터널링하여 통과할 수 있는데, 이때 음저항 효과(즉 전류가 전압 증가에 따라 감소함)를 일으킨다. 터널 다이오드는 접합을 지나가는 짧은 터널링 시간과 그 고유의 낮은 잡음 때문에,.. 2014. 8. 21.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8월 20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모바일 부품업계, 스마트폰 대안은 車…벌써부터 과열로 인한 부품가 인하 우려도 나와 (지디넷코리아 2014-08-20) (기사요약) 20일 부품업계에 따르면, 현재 자동차 시장에 신규 진출하려는 업체는 수십개에 달한다. 한 부품업계 관계자는 "모바일 시장에 포진한 대부분의 업체들이 자동차를 신성장동력으로 보는 것 같다"며 "이 시장도 모바일처럼 가격경쟁이 벌어지게 될 것 같다"며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 기사 전문보기 2. 한국반도체산업協, JEDEC과 모바일메모리 표준화 포럼 개최 (뉴스1 2014-08-20) (기사요약)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2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반도체표준화기구(JEDEC)와 함께 '모바일포럼/LPDDR4 워크숍 2014'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2014.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