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077

[에피소드] 숲과 빌딩 사이로의 여행 연륜과 경험이 도움이 된 여행이었다. 쿠알라룸푸르공항은 여러 번이나 해외여행을 다녀온 우리 부부에게도 당혹스러운 곳이었다. 기내를 나서자, 반겨준 곳은 면세점이었다. 그곳을 지나니 드램이 기다리고 있어서 출국장으로 향한다는 사인을 확인하고서야 탑승을 했고, 내리니 다시 면세점들이었다. 걱정하면서 Luggage Claim이라는 글자를 따랐더니 드디어 입국장이 나왔다. 늦었다는 미안함으로 가이드를 만나니 열여덟의 일행 중 선착이었다. 30분이 지나서야 두 명이 합류했고, 한 시간이 지나도 20대 아가씨 두 명은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가이드가 다가오더니 “짐이 보이지 않아서 찾는 중”이라기에 “싱가포르로 짐을 부쳤을 것”이라고 했더니 그게 정답이었다. 1시간 반이나 늦은 탓에 백만 불 야경이라고 선전한 ‘푸.. 2018. 5. 11.
광주 본촌동 맛집 <본촌 생선구이 백반> 맛과 건강을 둘다 챙기세요~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번에 필자가 생선 관련 맛집 소식을 들고 왔습니다. (^_^) 우리 K4공장(광주)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곳인데요, 저렴한 가격에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맛집 을 소개합니다! 고등어구이, 간장게장, 동태전(명태전)을 기본으로 하고, 시골밥상을 연상케 하는 정갈한 반찬과 각종 젓갈, 뼈 없는 고등어구이는 물론이거니와, 우렁강된장비빔밥 정식, 꽃게속살비빔밥 정식, 해물순두부 정식, 청국장비빔밥 정식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등 푸른 생선 중 최고의 영양분을 가진 고등어는 단백질과 비타민 D, E, B 등이 함유되어 있고, 동맥경화와 뇌졸중을 예방하기 좋으며, 불포화 지방산 중 하나인 DHA가 아주 풍부하다고 하지요. 특히, 이곳의 고등어는 겉은 바삭하고~속은 촉촉하고, 생각보다 .. 2018. 5. 10.
[일본 특파원] 일본의 골든위크 앰코인스토리 독자 여러분! 혹시 일본의 골든위크(우리말로는 황금연휴라고 하지요)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지 않으세요? 올해는 한국도 대체휴일이 시행되어 이번 5월 5일 어린이날 대체휴일로 월요일도 휴일이 된 곳이 많다고 하더군요. 일본의 골든위크는 본래 5월 3일(헌법기념일)부터 5월 5일(어린이날)까지의 3일간을 일컬었지만, 일반적으로 4월 29일(쇼와의 날)부터 5월 5일까지로 합니다. 또한, 직전/직후의 토요일과 일요일에 대체휴일까지 있는 경우는 다 포함해서 골든위크라고 합니다. 골든위크기간 중에 휴일은, 4월 29일 (쇼와의 날) 5월 1일 (근로자의 날) 5월 3일 (헌법기념일) 5월 4일 (녹색의 날) 5월 5일 (어린이날) 이렇게 다섯 개 휴일이 있어 올해처럼 휴일 중간에 토요일과 일요일이 있.. 2018. 5. 9.
[영화n영어 5호] 에이트 빌로우 : 소중한 것을 위해선 모험이 필요해 영화는 미국인 지질학자 데이비스(브루스 그린우드 분)의 요청으로 운석을 찾고자 남극의 탐사대원 제리 쉐퍼드(폴 워커 분)가 여덟 마리의 썰매 개들과 함께 남극으로 떠나는 모습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대규모 폭풍이 몰아칠 거라고 철수 명령을 듣자 제리는 돌아가야 한다는 말을 데이비스에게 전하는데, 데이비스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며 제리를 설득합니다. We're talking about a rock from another world. That could lead us to discoveries we can't imagine. l came halfway around the world to look for something that's important to me, please, you... You gotta.. 2018. 5. 8.
[세계 속 과학, 과학 속 세계] 일본, 과학으로 다시 날개를 달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는 총 25명(미국 국적 취득자 2명 포함), 그중 22명이 기초과학 분야 수상자입니다.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에 이어 가장 많은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가 바로 일본이지요. 2001년 이후로만 16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고, 2014년 물리학상, 2015년 생리의학상과 물리학상에 이은 2016년 생리의학상까지 3년 연속 수상을 기록했습니다. 아직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단 한 명도 없는 우리나라로서는 끊임없이 들려오는 이웃 나라 일본의 노벨상 수상 소식이 여러 생각을 하게 합니다. 일본이 근대국가의 틀을 만들며 과학기술의 토대를 구축했던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150년, 일본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초과학 분야에 국가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18.. 2018. 5. 7.
[시 한 편] 엄마는 그래 [시 한 편] 엄마는 그래 엄마는 그래 옷 입는 것 양치질하는 것 나가는 것 들어오는 것 너의 오만 가지 십만 가지를 신경 쓰고 참견하고 걱정하고 그래 온전한 한 인간으로 설 수 있기를 사회에 유용한 사람이 되기를 입가에 미소를 가득 안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면서 옆에 있을 때도 눈에 보이지 않을 때도 엄마는 그래 근데, 그거 아니? 엄마도 누가 시시콜콜 관심 가져주길 바란다는 거. 글 / K4 품질보증2팀 박미식 사원 2018.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