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일상다반사

[에피소드] 빨강 지붕 VS 아파트 단지

by 앰코인스토리 - 2017. 11. 10.


유럽 특히 동유럽을 여행하면서 고성에서 내려다보거나 고속도로에서 마주치는 지붕이 빨간색으로 뒤덮인 광경을 ‘동화 속 작은 마을’로 부르고 싶었다. 그런 광경은 보고 또 보아도 감동적이니 어쩌면 좋으랴! 홈쇼핑의 여행상품을 보다가 설렘을 이기지 못하고 내일이라도 가보고 싶은 여행지가 눈에 들어왔다. 해변을 끼고 빨강 지붕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발칸의 ‘크로아티아’다.


그 풍경에 매료되어 안내하는 대로 여행경비 일체를 일시불로 결재 - 보통은 예약금으로 30만 원을 내고 확정되면 나머지를 낸다 - 했다. 그러나 한 여행사로부터는 해피콜을 받고 다른 곳은 인터넷에서 확인한 결과, 내가 원하는 여행 조건이 아니라 취소했다. 발칸 지역으로 가는 국적기나 직항편이 없다는 것이 첫 번째 결격사유다. 모스크바항공이나 터키항공을 이용해야 하므로 먼저 그들 나라에 도착 후 갈아타기 위하여 몇 시간을 기다린다는 게 여간 난감하고 짜증 나는 게 아니다. 하필이면 자정을 겨우 넘긴 시간에 떠나고 도착하므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성격도 문제지만, 8일간의 일정이 6박 8일도 아닌 5박 8일이다. 동유럽을 경유해서 여행한다면 문제 될 게 없지만, 갔던 곳을 다시 찾는다는 것은 시간 낭비에다 경비만 가중될 뿐임을 여러 번 경험했기에 고려 대상이 아니다. 다른 요인으로는 이런저런 사정으로 독방을 써야 하는데, 독방 차지가 인근 국가인 동유럽이나 서유럽보다 고액이라 심기가 불편하다. 현재의 심정은 이렇지만, 빨강 지붕이 자주 눈에 밟히면 모든 악조건을 감수하고 훌쩍 비행기를 탈지도 모른다.


눈을 돌려 우리의 현실을 보면 어떤가. 대도시는 물론 소읍까지 성냥갑을 포개 놓은 것 같은 아파트의 비중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게 걱정이다. 아니나 다를까 며칠 전에 통계청이 밝힌 2016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서 아파트 가구 수가 1,000만 가구를 돌파하여 주택의 60% 이상이라고 한다. 우리는 어느새 숨 막히는 아파트단지 속에 파묻힌 꼴이다. 지금까지는 좁은 땅에 많은 인구가 살아야 하므로 아파트를 좋아하게 되었다고 믿어왔다. 그런데 조금만 생각해보면 그게 아님을 알 수 있다. 가까운 일본만 하더라도 땅덩이 크기나 인구 밀도가 우리와 비슷한데, 여러 번이나 일본을 다녀왔지만 아파트 단지를 쉽게 볼 수 없었다. 인터넷으로 조사해 보니 아파트는 10%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상복합형태의 주거지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우리처럼 열광적이지는 않은가 보다.


김준만 교수는 그의 저서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에서 우리 민족의 아파트 선호현상을 분석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사회문화적 동질성으로 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과시하고 싶어 하는 ‘구별 짓기’의 결과물로 아파트 등을 선호하게 되었다는 것이고, 대표적인 형태로 강남의 고가 아파트, 학교, 외제 자동차, 명품 등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했다. ‘빨리빨리 문화’, ‘대세 추종 쏠림 현상’ 등도 한몫 했다고 적고 있다. 도시 중산층이 더는 아파트로 ‘구별 짓기’ 를 하지 못한다는 확신을 가지면 아파트 단지는 급격히 사양길로 들어설 것이라는 예측도 하였다. 강남지구는 인프라가 확보되어 교통이 편리하고 문화시설이 집중된 지역이라 아파트 가격이 비싼 줄로만 알았는데 주거지를 재산으로 생각하는 심리까지 있다니 곤혹스럽다.


그나저나 60년 뒤, 손자가 삭막한 아파트 단지에 갇혀 살면 어쩌나 하다가도 한 달이 멀다 하고 변하는 세상인데 그때쯤에는 세계가 하나이거나 대륙 별로 통일될 게 아닌가! 어디든 원하는 지역에 살수도 있고, 하루에도 여러 곳을 여행할 수 있을 텐데 무엇이 아쉬울까! 냉동 처리되었다가 그때쯤 해빙되어서 생활하는 모습을 꿈에서라도 보고 싶은 망상을 품는다.


글 / 사외독자 이선기 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