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앰코코리아4457

[와인과 친해지기] 마릴린 먼로와 메릴린 메를로 와인이 좋아지면 점차 괜찮은 와인을 만나고 싶어지면서, 그에 따른 지출의 압박이 만만치 않다. 특히 한국에서의 와인 가격은 워낙 부풀려진 상태라 외국에서 판매하는 가격의 세 배 이상은 보통이다. 현명한 소비자라면 만나고 싶은 와인을 기억해 뒀다가 백화점 와인 세일, 마트 와인 행사 때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몇 년 전, 코엑스 와인나라 장터에 방문한 적이 있었다. 분기마다 있는 할인 행사인데, 평소에 워낙 비싸서 만나기 힘든 와인들을 저렴한 가격에 가져올 수 있어서 좋다. 퇴근 후 와인 가게에 들러 진열된 와인을 쭉 한번 둘러보는데, 눈길을 사로잡는 와인이 있었다. 특이하게도 미국 여배우 마를린 먼로가 활짝 웃는 흑백 사진 레이블이 붙어있는데, 와인 이름도 ‘메릴린 메를로(Marilyn Merlo.. 2014. 10. 24.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10월 23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삼성전자, 스마트폰 반등의 기회는? (이코노믹리뷰 2014-10-23) - 무선사업부 영업이익 1조8000억 원‘경고등’ 기사 미리보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의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갤럭시노트4를 비롯해 다양한 플래그쉽 모델이 효과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스포트라이트를 받기에는 중과부적인 분위기다. 하지만 반등의 기회는 있다. 23일 업계에는 삼성전자가 이달 말 3분기 확정실적 발표를 앞두고 사업부문별 실적을 종합한 결과, 무선사업부 영업이익이 2조 원에 미치지 못하는 1억 8000억 수준이라는 전망까지 등장했다. 어닝 쇼크로 여겨지는 2분기 4조4000억 원에 비해 무려 60% 줄어든 수치다. 기사 바로가기 2. [날개 단 반도체] 남은 과제는…시스템반도체 극복 (이.. 2014. 10. 23.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10월 22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고성능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유연 디스플레이 실용화 앞당겨 (서울경제 2014-10-22) 기사 미리보기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연구진이 휘는 화면(flexible display) 구현을 위한 핵심 소재인 고성능 n-형 플라스틱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플라스틱 반도체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접거나 휠 수 있어서 접는 스마트폰 개발에 필수적이다. 지금까지는 플라스틱 반도체의 성능(전하이동도)과 안정성이 실리콘 반도체보다 크게 떨어져 상용화에 쓰이기 어려웠다. 그러나 국내 연구진이 이를 실리콘 반도체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함에 따라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 바로가기 2. RF반도체 기술 적용한 전자레인지 나온다.. 2014. 10. 22.
쌀쌀한 가을에는 따뜻한 앰코인스토리와 함께! 사랑도 테스트! 2014. 10. 22.
앰코코리아 K1 탁구동호회, 건강한 탁구를 전파합니다! 10월 14일, 앰코코리아 K1 탁구동호회는 K1 공장 E동 탁구장에서 ‘제4회 앰코탁구동호회장기 전사대회’를 개최했습니다. 탁구의 저변 확대와 건강한 회사생활을 위해, 매년 앰코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이번 대회에는 올해에도 많은 임직원이 참여해 열띤 응원과 함께 손에 땀을 흠뻑 쥐게 하는 명승부들을 펼쳤습니다. 으뜸부와 버금부, 이렇게 두 리그로 나누어 예선을 거쳐 본선과 결승까지 정말 뜨거운 승부를 펼쳤습니다. 그 결과, 으뜸부에서는 구매부문 장비원재료구매팀 이만우 차장이 우승을, 제품사업팀 현승용 차장이 준우승을 각각 차지했습니다. 으뜸부 우승 : 이만우 차장 준우승 : 현승용 차장 버금부 우승 : 김수현 차장 준우승 : 이호혁 차장 그리고 버금부에서는 고객만족부문 고객만족1팀 김수현 차장이 .. 2014. 10. 21.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4년 10월 20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피부에 붙이는 '전자피부' 상용화 가능성 열었다 (디지털타임스 2014-10-20) 기사 미리보기 피부에 붙여도 티 나지 않는 투명한 '전자피부(Electronic Tattoo)'를 만들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사람 피부 등에 스티커처럼 붙여 디스플레이, 생체신호 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장웅 UNIST 교수(신소재공학부), 배병수 KAIST 교수, 추혜용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장 공동연구팀은 반으로 접거나 잡아당겨도 전기적 특성이 유지되는 고성능 '그래핀 투명전극'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피부나 유리, 나뭇잎 등에 쉽게 붙일 수 있는 투명 전자회로도 구현했다. 기사 바로가기 2. 특허청, 제15회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 개최 (데이터넷 201.. 2014.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