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956

[반이아빠의 장난감 속 반도체] 1년 결산 특집 2015년 3월, 이라는 에피소드로 연재를 시작한 지도 어느새 1년이 되었습니다. 반이는 무럭무럭 자라서 작년 여름부터는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했고, 연말에는 귀여운 동생을 보았으며, 장난감은 더욱 많아졌습니다. 게다가 다음 주에는 반이의 생일을 앞두고 있어 또 한 무더기의 장난감 식구들이 늘어날 것입니다. 요즘 반이아빠는 쌓여가는 장난감들을 보며 슬슬 이사 준비를 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 1년간의 꼭지들을 돌아보고, 앞으로 펼쳐질 새로운 장난감들과 반도체의 만남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에서는 반이의 장난감 자동차 내부의 스피커 배선이 끊어져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을 다시 납땜하여 고쳐주는 에피소드로, PCB, IC, 전자부품 등의 정의를 알아보며 PCB 기판의 X-ray .. 2016. 2. 24.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2월 18일 1. TSMC "지진피해 예상보다 커"..반도체 업계 '촉각' (2016-02-18 머니투데이) 기사 미리보기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1위 업체인 TSMC가 지난 6일 발생한 대만 강진으로 당초 예상보다 큰 피해를 입었다. 반도체의 원재료 역할을 하는 웨이퍼의 공급이 최대 50일까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번 사건이 과잉 공급에 시달려 온 반도체 업계에 '단비'가 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기사 바로가기 2. 삼성전자, 빠르면 3월 중 10나노대 D램 양산 돌입 (2016-02-18 머니투데이) 기사 미리보기반도체 가격하락 등의 여파로 작년 4분기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이 직전보다 10% 가까이 줄었다. 전반적 IT(정보기술) 시장의 수요둔화 속에 공급 과잉도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워 당분간.. 2016. 2. 18.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2월 17일 1. 페타룩스, 구리-할로겐 반도체 소자 발광 메커니즘 밝혀 (2016-02-17 전자신문) 기사 미리보기질화물 반도체 기반 발광다이오드(LED) 대비 발광 특성과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리-할로겐(CuHa) 반도체 소자의 발광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반도체 소자 개발 벤처기업 페타룩스 안도열 대표(서울시립대 석좌교수)는 박승환 대구가톨릭대 교수와 공동연구한 구리-할로겐 반도체 소자 발광 메커니즘 논문이 네이처 자매 과학 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됐다고 17일 밝혔다. 기사 바로가기 2. 3전4기, 반도체 굴기 노리는 중국의 집념은 계속된다 (2016-02-17 메트로신문) 기사 미리보기반도체 굴기를 위한 중국의 시도가 미국 당국으로 인해 다시 제동이 걸렸다. 하지만 중국의 집.. 2016. 2. 17.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2월 16일 1. 반도체 경전 '무어의 법칙' 폐기된다 (2016-02-16 ZDNet Korea) 기사 미리보기반도체시장을 지배해왔던 ‘무어의 법칙’이 공식 사망 선고를 받는다. 그 동안 ‘무어의 법칙’에 맞추기 위해 노력해 왔던 반도체업계가 다음달 포기 선언을 할 계획이다. 이 같은 사실은 미국의 과학 전문잡지 ‘네이처’가 2월호에서 특집 기사로 다루면서 널리 알려지게 됐다. ‘무어의 법칙’은 인텔 공동 창업자인 고든 무어가 지난 1965년 4월 ‘일렉트로닉스’란 잡지에 게재한 글에서 처음 주장한 이론이다.기사 바로가기 2. 1월 휴대전화·반도체 등 ICT 수출 작년보다 17.8% 감소 (2016-02-16 조선일보) 기사 미리보기1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17.8%나 감소한 것으로.. 2016. 2. 16.
최초의 자동차 발명가 칼 벤츠, 그 뒤엔 당당한 그녀인 베르타가 있었다 [역사 속 엔지니어] 칼 벤츠, 최초의 자동차 발명가가 되다 동대문 DD플라자에 가보면 우리의 눈길을 끌어당기는 전시물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최초의 자동차, 칼 벤츠(Karl Friedrich Benz)의 페이턴트 모터바겐이 그것인데요.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가 한독수교 130주년을 기념으로 서울시에 복제품을 기증한 것이라고 합니다. 사진출처 : http://goo.gl/55mBmI 이 자동차를 만든 칼 벤츠는 13세 때 증기기관차를 보며 ‘움직이는 차’에 대한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대학교에 입학한 15세부터는 말이 끄는 마차가 아닌 내연기관에 의해 움직이는 자동차 발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하다가, 1885년 드디어 세계 최초 가솔린 엔진의 삼륜 자동차 페이턴트 모터바겐을 발명하게 되.. 2016. 2. 16.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6년 2월 15일 1. 인천대 ‘광전성능 효율 100% 달성 목표’(2016-02-15 서울매일) 기사 미리보기인천대 전기공학과 윤주형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나노 구조를 이용한 에너지 증폭 기술의 현상을 검증했다. 이는 표면 플라즈몬 에너지의 기능성을 실용화한 것으로 반도체 분야의 고집적도와 대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근간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플라즈몬 현상은 입사된 빛에 의해 나노사이즈의 금속을 통한 반도체 혹은 절연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강한 전기 현상으로, 태양전지 및 광전 변환 응용분야 등에 적용돼 탁월한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기사 바로가기 2. "중국 추격전 무섭다"..수출강소기업도 '비명' (2016-02-15 이데일리) 기사 미리보기“중국으로 반도체 수출하는 기업들 사정이 말이 아니다. 1.. 2016.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