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956

2022년 2월 11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 반도체 나노 적층구조, 한 번에 실시간 검사한다 기사보기 : 아이뉴스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 광영상측정표준팀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센서 등에 활용되는 소자 내부구조를 한 번의 측정만으로 실시간 검사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소자를 절단하지 않는 비파괴적 측정방식으로 내부의 층별 두께와 형상을 동시에 측정 가능하다는 것이다. 🔍 차세대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대량생산 기술 개발 기사보기 : 동아사이언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꼽히는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를 대량생산할 원천기술 확보에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0일 세계 최초로 ‘탄화규소 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핵심 .. 2022. 2. 11.
[디지털 라이프] 언제 + 어디서나 : 포터블(portable) 시대, 편리함이 껑충! 언제 + 어디서나 : 포터블(portable) 시대, 편리함이 껑충! 편리함이 진화합니다. 우리의 일상 속 새 빛깔의 즐거움을 선사하지요. 이는 언제 어디서든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음을 말하기도 합니다. 나의 생각을 오롯이 24시간 실현할 수 있는 시대. 그 중심에는 어제보다 오늘 훌쩍 자란 IT 기술이 있습니다. 성큼성큼 앞서가는 그 발자취마다 스마트 라이프가 강렬하게 각인됩니다. 어제보다 편리해진 오늘, 엷은 미소 한줄기를 입가에 머무릅니다. 그렇게 디지털 기술이 아우르는 세상은 옹골차게 알알이 첨단으로 채워져 갑니다. A : 포터블(portable)이란 무엇이지? B :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설치 프로그램으로 대표되지. C : 휴대하기 쉽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대. 포터블 키워드 : 언제+어.. 2022. 2. 10.
2022년 2월 7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 엑시톤 입자 손실 없는 방법 찾아내..차세대 반도체 탄력 기사보기 : 파이낸셜뉴스 고효율 엑시톤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기술이 나와 차세대 반도체 칩 개발이 탄력을 얻게 됐다. 유니스트(UNIST)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팀은 엑시톤 입자(준입자)를 손실 없이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엑시톤(exciton)은 절연체나 반도체 소재 안에 생기는 입자다. 음전하(-)인 전자와 양전하(+)인 정공이 합쳐진 형태라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이 특성 덕분에 엑시톤을 전자 대신 활용하면 더 빠르게 작동하고 발열이 없는 반도체 칩을 만들 수 있다. 🔎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 연구팀, 묽은자성반도체의 자기모멘트 한계극복을 위한 대안 제시 기사보기 : 뉴시스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는 에너지.. 2022. 2. 7.
2022년 2월 4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 지난해 40조 넘는 흑자 'K-반도체' 올해도 호황은 지속된다 기사보기 : 머니S 반도체 업황은 올해 상반기 바닥을 찍고 하반기 반등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이 약 14억대로 전년 대비 3% 증가하고 초대형 데이터센터 투자는 전년 대비 3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PC 출하량도 코로나19 이전보다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 반도체 패권 경쟁 격화..전 세계 공장 유치 경쟁 '치열' 기사보기 : 아이뉴스24 최근 미국, 유럽, 한국 등 일부 국가들이 자국 내 공장 설립 시 세액을 공제해 주는 등 반도체 지원책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연초부터 세계 곳곳에서 반도체 공장 유치 경쟁이 뜨겁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이같은 지원 방안이 반갑기도.. 2022. 2. 4.
2022년 2월 3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 日 연구소, '전력반도체' 2대 차세대 핵심재료 일체화 기사보기 : 전자신문 일본 최대 연구기관 산업기술종합연구소(산종연)가 차세대 전력반도체 재료로 꼽히는 '실리콘카바이드(SiC)'와 '질화갈륨(GaN)'을 일체화한 반도체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산종연이 SiC 기판에 GaN 트랜지스터를 탑재하는 형태로 두 재료 장점을 모두 구현하는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3일 보도했다. 전력반도체 기판에 사용하는 SiC와 GaN은 기존 실리콘 기반 제품과 비교해 전력 변환 효율이 높다. 우수한 신뢰성을 가진 SiC는 철도 차량, 전기자동차, 에어컨, 태양광 인버터 등에 사용된다. 🔍 센서 등 비집적회로 반도체 첫 '1000억달러 돌파' 기사보기 : 전자신문 센서 등 비 집적회로(IC.. 2022. 2. 3.
[자연에서 배우는 과학] 세뱃돈과 아마존 모르포 나비 2022년을 맞이하고 첫 연휴인 설 명절을 앞두고 있습니다. 설날에는 떡국을 먹으며 신년 덕담도 나누고 아이들은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며 세뱃돈을 받는 꽤 기대되는 시간인데요, 세뱃돈을 주는 입장과 받는 입장 모두 유심히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1만 원권 지폐의 오른쪽 아래 숫자 ‘10,000’이라고 쓰인 부분입니다. 숫자 10,000의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변한다면 문제없지만, 색이 변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네, 위조지폐로 신고해야 하지요! 1만 원권 지폐에는 위조 방지를 위한 색 변환 잉크가 사용됩니다. 이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이 부분이 노란색 또는 초록색으로 바뀌어 보이는데요, 이는 영화 를 연상시키는 신비로운 파랑색의 나비, 모르포 나비(Morpho Butterfly)를 떠올.. 2022.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