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코인스토리4741 [앰코인 뉴스] 목인수 책임, EPTC 학회로부터 Best Paper Award 수상 목인수 책임, EPTC 학회로부터 Best Paper Award 수상 기술연구소 기술개발센터 기술개발팀 목인수 책임이 제23회 EPTC 학회에 제출한 논문 로 ‘Best Paper Award’를 받았습니다. IEEE CPMT(Components, Packag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Society)이 주관하는 EPTC 학회는 아시아에서 열리는 반도체와 마이크로 시스템 패키징 관련 학회로서는 가장 큰 규모로 이번에 23회를 맞이했습니다. EPTC 2021에서는 keynotes, technical sessions, technology talks, exhibition corners and networking activity 등이 진행되었으며, 디자인부터 제조까지 전자제품 패키징.. 2022. 3. 14. [광주 여행] 테마가 있는 도심 속 간이역, 극락강역 테마가 있는 도심 속 간이역, 극락강역 (지난 호에서 이어집니다)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극락강역은 도심 속 작은 간이역으로 아기자기한 건물과 한적한 주변 풍경이 흡사 시골 마을을 온 듯 정겨움이 묻어납니다. 이에 극락강역은 ‘도심 속에 있는 가장 작은 꼬마역’이라는 슬로건 아래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 테마역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으며, 한국철도(KORAIL) 최우수 테마역에 선정됩니다. 전국 광역시의 역 중 가장 작은 역인 극락강역은 1922년 7월 1일, 남조선철도 주식회사가 전남선(지금의 광주선)을 개통하면서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올해로 100년을 맞이한 유서 깊은 역사, 지금의 건물은 6.25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58년 신축한 것으로 2013년 1월 7일, 한국철도공사 지정.. 2022. 3. 11. [디지털 라이프] 머릿속의 원하는 게 뚝딱, 제너레이티브 AI 넌 누구?! 머릿속의 원하는 게 뚝딱, 제너레이티브 AI 넌 누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논하며 가장 많이 거론되는 대상 중 하나가 바로 AI입니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 방식의 혁신 시대를 이끄는 중요한 뿌리기도 하지요.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 기술 등은 디지털 라이프의 한 중심, 심지를 박고, 융성한 기술 축제의 불꽃놀이를 이끌고 있습니다. 광대한 IT 기술의 푸른 바다 위, 그리고 디지털 라이프 창공 너머, 팡팡, 오색빛깔의 불꽃을 수놓는 중입니다. 인공지능은 어떤 정보를 받아 해석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속에서 얼마나 정확한지, 얼마나 우수한지 등을 체크하기도 하고, 다채로운 형태로 인간의 지능을 대신합니다. 인공지능은 정보로 시작해서 정보로 끝나는 분.. 2022. 3. 10. 봄맞이 시(詩) 제목 맞추기 이벤트_웹진 [앰코인스토리] 2022. 3. 8. [안샘의 저염식 요리] 건강하고 맛있는 닭고기 찰깨빵과 병아리콩 컵케이크 건강하고 맛있는 혼밥 저염식 레시피! 빵과 케이크가 당기는 날엔 닭고기 찰깨빵과 병아리콩 컵케이크 찰깨빵(깨찰빵)은 치즈와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브라질의 빵인 ‘팡 지 케이주(Pao de Queijo)’를 동양풍으로 재창조한 빵입니다. 밀가루(강력분)만을 이용해 만드는 부드러운 빵들과는 달리, 깨찰빵은 타피오카 전분과 밀가루를 배합해 만듦으로, 겉은 건빵처럼 바삭하지만 속은 떡처럼 쫄깃합니다. 검은깨와 간장 같은 동양적인 식재료도 들어가 고소한 맛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닭고기 찰깨빵은 이 빵 안에 멕시코의 청양고추인 할라피뇨, 방울토마토, 양파, 파프리카, 훈제 닭가슴살을 넣고 치즈를 얹어 구워 먹는 요리입니다. 이집트콩이라고도 불리는 병아리콩은 기원전 7,500년 경부터 아시아 중동 지역에서 재배하.. 2022. 3. 7.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캠페인 (4편) 기관사칭 (금융기관, 법원 등) 앰코코리아 새마을금고에서는 사원분들의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한 홍보 캠페인과 더불어 실제 사건 · 사고 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편]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법 - 기관사칭 (금융기관, 법원 등) 1. 정부기관에서 연락이 오면 반드시 소속, 직책, 성명을 확인하세요. 2. 현금지급기(ATM, CD기)로 유인하면 100% 금융사기입니다. 3.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알고 접근하는 경우에 내용의 진위를 확인하세요. 4. 피해를 당한 경우, 신속히 지급정지(금융감독원 1332)를 요청하세요. 5. 예금통장 및 현금(체크)카드를 제3자(가족 포함)에게 양도하지 마세요. 6. 코로나19 관련 정부기관 사칭의 대출 홍보 문자를 주의하세요. 7.. 2022. 3. 7. 이전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7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