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943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4개의 가전자를 공유ㆍ결합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여기서 가전자는 Ge(게르마늄) 혹은 Si(실리콘과 같은 결정이다. 다시 말해, 불순물 원자나 결정 결함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반도체를 뜻한다. 진성 반도체는 전기를 옮겨 주는 반송자(Carrier)가 없으므로 부도체의 성질이 있다. 진성 반도체의 특성으로는 진성 캐리어 농도(intrinsic carrier concentration), 진성 페르미 준위(intrinsic Fermi Level), 캐리어 이동도 등이 있다. Ge(게르마늄)의 가전자는 공유 결합 전자로 되며, 일부가 떨어져 나와 자유 전자가 된다. 공유 전자가 빠진 부분은 전자 1개가 부족하게 되는데, 이 부분을 정공(正孔)이라고 한.. 2015. 1. 21.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1월 20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화려한 IT 발전사, 그 뒷면에는? (2015-01-20 아시아경제) 기사 미리보기IT를 이해하고 최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과학대중서가 발간됐다. 벌써 10년째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IT를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 원장 김흥남) 이지(Easy) IT 시리즈다. 이번에 발간된 책은 'IT 신화를 이끈 아버지가 보내는 편지', '사물인터넷의 미래'등 2종이다. IT 신화를 이끈 아버지가 보내는 편지는 대한민국 통신, 반도체, 컴퓨터·소프트웨어(SW)의 발전사를 담은 책이다. 기사 바로가기 2. 광주 기업 지난해 수출, 162억 5900만 달러 기록… 5년 연속 사상 최대 (2015-01-20 시민일보)- 수입 51억 6600만 달러로 110억 9300만.. 2015. 1. 20.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1월 19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4분기 PC 출하량↑… 삼성·SK하이닉스 ‘반도체 실적’ 개선 기대 (2015-01-19 이투데이) 기사 미리보기지난해 4분기 PC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국내 반도체 회사들의 깜짝 실적이 기대되고 있다. 19일 미국 IT분야 리서치 기업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PC 출하량은 지난 4년간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대비 1% 증가한 8370만대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글로벌 PC 시장이 성장세로 돌아섬에 따라, 2% 성장세를 보였던 2011년 이후 최고의 해를 보냈다는 데 공통적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기사 바로가기 2. 리더의 길을 실크로드에서 찾다 - 인텔코리아 이희성 대표 (2015-01-19 IT동아) 기사 미리보기세계 최대의 반도체 회사인 인텔(i.. 2015. 1. 19.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1월 16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무어의 법칙’ 50주년, 반도체 공정 발전사 (2015-01-16 블로터앤미디어) 기사 미리보기올해는 ‘무어의 법칙’이 50주년을 맞는 해다. 펜티엄이 20주년을 맞았다고 발자취를 되짚었던 게 불과 1년 전인데, 인텔로 대변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는 더 길고 파란만장하다. 인텔의 성장은 반도체 집적 기술의 역사와 함께했다. 14nm 공정을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만, 그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를 되짚어보면 14nm는 그렇게 우습게 볼 기술은 아니다. 지금부터 할 이야기는 꽤 길다. 그만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는 길었다. 하지만 발전의 패턴은 최근에 급격해졌을 뿐 비슷했다. 공정과 아키텍처다.기사 바로가기 2. LG전자, 구글 '무인주행'차에 배터리팩 공급 (201.. 2015. 1. 16.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5년 1월 15일 오늘의 반도체 뉴스 1. 창업도전, 이 분야를 주목하라…정부가 집중육성하는 신성장산업 (2015-01-15 헤럴드경제) 기사 미리보기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산자원부 등 5개부처가 15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업무 내용의 핵심은 창조경제에 지원하는 180조원의 정책 금융 중 100조원을 신성장산업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가 밝힌 신성장산업에는 소프트웨어와 컨텐츠, 보건, 의료, 문화, 교육, 물류 등 유망서비스업종과 스마트자동차, 5G이동통신, 지능형반도체, 빅데이터,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착용형 스마트기기(웨어러블) 등이 포함됐다. 기사 바로가기 2. 삼성전자, 세계 최초 ‘20나노 8기가비트’ 그래픽 D램 양산 시작 (2015-01-15 동아닷컴) 기사 미리보기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 2015. 1. 15.
반도체와 전자공학의 역사, 두 번째 최초의 다이오드 드디어 1900년대가 시작되면서, 1904년에 존 플레밍(John Ambrose Fleming, 1849-1945)에 의해 최초의 다이오드(전극 두 개 곧 원통과 필라멘트를 갖고 있으므로 이극진공관(二極眞空管), 즉 다이오드(diode)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가 개발되었습니다. 아래 왼쪽 사진에서 보면, 이극진공관의 모습이 보입니다. 다리가 3개인 이유는 음극을 가열해 열전자(熱電子)가 방출되도록 히터를 부착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무선통신 신호를 검출(檢出)하기 위한 정류기의 부품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전자공학의 불씨를 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Gregory F. Maxwell at Wikipedia.org 그로부터 2년 후, 미국인 발명가 리 드 포레스트(Lee de Forest,.. 2015.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