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956

[디지털 라이프] 우리도 첨단이랑 놀래! IT 기술과 반려동물의 만남, 펫테크 우리도 첨단이랑 놀래! IT 기술과 반려동물의 만남, 펫테크 독립해 혼자 사는 윤아 씨의 퇴근 후를 반겨주는 것은 두 마리의 러시안 블루 고양이입니다. 키키와 포포는 업무에 지친 고단한 하루 끝, 한 줌 단비 같은 존재들인데요, 때로는 맥주 한 잔 곁들인 저녁 식사 가운데 정겨운 말동무가 되기도 합니다. 윤아 씨의 베스트 프렌드인 민경 씨도 결혼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웰시코기를 기르며 사는 딩크족인데요, 그래서일까요. 모이기만 하면 서로의 반려동물 이야기에 즐거운 수다 한판이 펼쳐지곤 합니다. 특히 최근 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바로 ‘펫테크(Pet-Tech)’. 그들은 이구동성 외칩니다. “우리 애들한테 좋은 것만 해주고 싶다고!” 2018년 들어 IT 기술과 여러 가지 분야의 과감한 매칭을 소개하고 있습.. 2018. 8. 7.
[반이아빠의 장난감 속 반도체] 뽀로로컴퓨터 9편, Port 5편 이번에 소개할 포트는 사운드 포트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생긴 이 포트는 외관상으로 우리에게 아주 익숙합니다. 바로 이어폰과 마이크의 잭(Jack)을 꽂는 포트였기 때문이지요. 이 포트에 꽂는 잭을 폰 플러그 잭이라고 하는데요, 과거에 전화교환기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잭의 외경 크기로 말미암아 흔히 3.5파이 오디오 포트라고도 부르기도 하고요. 이 포트는 약 50년 전에 개발되어 소니(Sony)사의 휴대용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인 ‘워크맨’에 채택되면서 급격히 확산하였습니다. 이후 대부분 오디오 기기에 탑재되면서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 포트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1개의 모노(Mono) 사운드만 출력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2개의 채널에서 별개의 소리가 나오는(혹은 입력하는.. 2018. 7. 30.
[임작가의 영상편집 속으로] 6편, 저작권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 요즘은 미디어 매체가 매우 발전을 많이 했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시지요?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영상이나 개인이 만들 소유권에 대한 저작권이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로 쓰였었는데요,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 지적재산 보호라는 정책으로, 쉽게 말하면 저작자의 재산권의 권리는 보호한다는 의미가 있는데요, 요즘 흔히들 영상을 다루는 모든 분에게도 해당하는 건 당연히 아실 것 같지만, 한번 짚고 넘어가려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아무래도 영상을 다루는 분들은 예쁜 폰트(Font)라든지, 예쁜 영상 소스(Source)라든지, 노래(Song), BGM(배경음악), 내가 만들지 못하거나 필요로 할 때 꼭 찾아서 써보게 됩니다. 모든 매체는 오늘날 개인지적보호라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되기에 무턱대고 사용하면 큰.. 2018. 7. 24.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8년 7월 13일 韓 반도체 '메모리 쏠림' 더 심해졌다 기사보기 : 지디넷코리아 중국 특허출원 건수 꾸준한 상승세…올 상반기에만 75만건 기사보기 : 아주경제신문 중국의 ‘반도체 굴기’, 세계 반도체 기업이 긴장하는 이유는? 기사보기 : 시선뉴스 "기우냐, 위협이냐?"…반도체 업계, 미중 무역분쟁 향한 두 시선 기사보기 : 글로벌이코노믹 브로드컴, 190억달러에 CA 인수 기사보기 : 아이뉴스24 2018. 7. 13.
오늘의 반도체 뉴스 2018년 7월 11일 한국 바짝 뒤쫓는 중국, 내년엔 '반도체 장비 1위' 왕좌도 넘본다 기사 보기 : 디지털타임스 업황 고점 논란... 하지만 하반기 전망은 '맑음' 기사 보기 : 한경비즈니스 반도체 경기 꺾이나...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 2개월 연속 감소 기사 보기 : 조선비즈 반도체 둘러싼 美中 갈등... 韓 기업엔 이득? 기사 보기 : 뉴시스 진격의 중국 반도체, 내년엔 세계 최대 장비시장 된다 기사 보기 : 월간 전자과학 나노코리아 2018, 나노기술이 바꿀 행복한 세상 우리 곁으로 '성큼' 왔다 기사 보기 : 전자신문 2018. 7. 11.
[세계 속 과학, 과학 속 세계] 인도의 과학, 초현실적 신앙과 현실의 과학이 만나다 과학기술은 일반적으로 개념적이고 논리적이며 정확한 근거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와는 상반되게 종교는 비개념적이며 추상적이고 초현실적인 부분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객관화와 논리 중심의 과학이 초월적 믿음과 내면의 세계를 다루는 종교와 어떻게 연관될 수 있을까요? 세상의 모든 과학자가 무신론자도 아니고, 또 이들 중에는 신에 대한 깊은 믿음을 가진 이들도 꽤 많습니다. 종교의 나라 인도에서 과학이 발전한 근거는 어디에 있을까요? 17세기 영국의 과학자사회를 분석한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과학자들이 자신들의 과학 활동이 신의 뜻을 거역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자연 안에 새겨놓은 비밀을 밝혀내 신의 영광을 드높이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그의 연구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과학자들의 바로 이런 생.. 2018. 7. 10.